-
마이크로바이옴이 최근 제약바이오산업에서 이슈화되고 있습니다. 아직은 생소한 마이크로바이옴 관련주 10 종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의와 함께 천천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1. 마이크로바이옴이란?
▶미생물(Microbe)+생태계(Biome)의 합성어로 인체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들의 총합을 의미합니다. 인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바이옴의 약 90%는 장내에 존재하며, 사람 체중의 1~3%를 차지합니다. 정리하면, 우리 몸에 사는 미생물과 이 미생물의 유전정보 전체를 포함하는 일종의 생태계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이는 사람의 건강과 질병에 영향을 미치며 항암제,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으로 개발 중인 유망한 분야이며 장 질환 치료에서 알츠하이머와 같은 뇌와 암의 질환 분야로도 저변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 미생물이란?
곰팡이, 효모, 박테리아 같은 세균 등을 말하며 매우 작아서 육아능로 볼 수 없는 0.1mm 이하의 미세한 생물입니다.2. 마이크로바이옴 관련주 10종목
2.1. 쎌바이오텍
▶마이크로바이옴 전문기업으로 자사특허 균주인 김치유산균 CBT-SL4의 유산균 약물 전달시스템(DDS)과 관련한 미국 특허 취득
▶DDS는 카세트와 같은 역할로, 운반하고 싶은 특정 DNA(테이프)만 바꾸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 생물공학, 치료용 단백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응용이 가능
2.2. CJ바이오사이언스
▶마이크로바이옴 후보 균주를 효율적으로 발굴할 수 있는 정밀 분류 플랫폼을 보유
▶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신약을 개발
2.3. 고바이오랩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신약 개발에서 괄목적인 성과로 건선치료제 'KBL-679'는 미국에서 임상 2상 진행 중
▶ 올 2분기 'KBL-679' 환자 투야 완료 예정
▶ 피부 면역 관련 영역에서 두각
2.4. 소마젠
▶17년에 이르는 오랜 업력과 더불어 미국 국립보건원 프로젝트 참여로 양질의 유전체 데이터를 확보
▶"2022년 상반기말 기준 특허 103건을 등록
▶전장유전체분석(WGS) 데이터 4만 건을 보유해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체 분석 경쟁에서 확고한 경쟁우위
▶ 미국 스탠퍼드 대학과 '자폐증상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인간 유전체와의 상관관계 규명 및 바이오마커 발굴을 위한 공동 연구'
2.5. 랩지노믹스
▶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서비스용 수송배지 개발과 특허 출원 완료
2.6. 제노포커스
▶바실러스 스포아-형성 균주가 생산하는 항산화효소 'Superoxide dismutase(SOD, GF-103)'를 습성 황반변성 약물로 개발하기 위해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사전 임상시험계획(pre-IND) 미팅
▶ IND 파일링 완료 시 글로벌 임상으로 진입 예정
2.7. 종근당바이오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CDMO(위탁생산) 시설을 유일하게 갖춘 기업
▶지난해 해당 치료제 개발 사업을 확장
▶연세대의 의료진과 마이크로바이옴 공동연구센터인 CYMRC를 통해 연구개발도 진행
2.8. 비피도
▶ 강원대학교와 마이크로바이옴 자원 산업화 협력 민 상고교류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해당 자원 산업화르 위한 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우수 종균 확보 및 유전체 해석, 종균 배양 및 발효공정 개발등의 협력사업 계획
2.9. 유바이오로직스
▶ 동 회사가 지분투자한 기업이 미국 FDA로부터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희귀 약품 지정
2.10. 지놈앤컴퍼니
▶항암 분야에 마이크로바이옴의 가능성을 타진
▶동 회사의 위암치료제인 'GEN-001'은 현재 출시된 면역항암제와의 병용 투약을 통해 시장 경쟁력 확보할 계획
최근에 정부에서 인체질환 극복 마이크로바이옴 기술 개발 사업에 4600억 원 규모의 신규 지원 사업을 준비한다는 소식으로 마이크로바이옴 관련주들의 주가가 강세였는데요, 한국의 제약바이오 산업은 미국과 유럽에 비해서는 후발주자이지만 과감한 투자와 공격적인 연구를 통해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또한 마이크로바이옴이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고 우리나라가 앞으로 세계시장에서 주도권을 질 산업으로 보인다고는 하지만 아직은 힘이 좀 모라란 듯싶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내용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바이오메딕스 공모주 청약일 상장일 공모가 (0) 2023.04.21 IRP 퇴직연금 중도인출 제한 등 개편안 정리 (0) 2023.04.04 지아이이노베이션 수요예측결과, 주관사별 청약 안내, 상장일 (1) 2023.03.20 리튬이온배터리 양극재 종류 (1) 2023.03.16 지아이이노베이션 공모주 청약일정, 상장일 (1) 2023.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