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동주의펀드 개념 정리

    2023. 2. 19.

    by. 킴고라니

    최근 기업경영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주주 등의 권리 강화로 인한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를 지향하는 '주주행동주의'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나 요즘 연일 SM의 경영권 분쟁과 인수 전쟁이 이슈인데요, 이것의 발단이 바로 지난해 3월 당시 1%대 지분을 가지고 있었던 '행동주의펀드'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이 주주총회에서 이수만이 설립한 회사 라이크기획과 SM 간의 계약 부당성을 지적하며 시작되었습니다. 바로 이 '행동주의펀드'가 최근 SM 경영권 분쟁사태의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된 것인데요, 오늘은 이 '행동주의 펀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목 차 >
    ■ 주주행동주의
      ¶ 발단 원인
    ■ 행동주의펀드란?

    ■ 행동주의 펀드 행보 

    행동주의펀드 개념 정리
    행동주의펀드 개념 정리

    ■ 주주행동주의

    - SHareholder activism
    -  주주들이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영향력을 행사함으로 인해 주주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 
    - 기존의 주주행동주의 관련 사안은 사업구조나 자산과 부채 등의 재무구조의 변경, 주주환원 정책 등
    - 현재는 회사의 영업, 투자, 배당,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 경영진의 선임 등 경영전략 전반에 영향
    -  기업가치(주가)를 높이기 위해 주주로서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
    - 이 주주행동주의를 실행하는 펀드를 '행동주의펀드'라고 지칭

        ¶ 발단 원인 

    - 한국 기업에 대한 국내외 연기금, 금융기관, 펀드 등 기관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의 비중 증가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들의 스튜어드십 코드의 도입

    ※ 스튜어드십코드란?
    주인의 재산을 관리하는 집사(스튜어드)처럼, 연기금과 자산운용사 등 주요 기관투자자들이 투자한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주주와 기업의 이익과 성장, 투명한 경영 등을 이끌어 내는 것을 목적으로 의결권 행사를 유도하기 위한 자율 지침, 행동주의 펀드도 이 스튜어드십 코드로부터 시작 

    - 자본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기업이 주주와의 소통을 통해 합리적인 주주의 의견을 경영에 반영
    - 기업 경영진에 대한 자본시장의 평가와 기업·주주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기업경영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로 대두 

     행동주의펀드란?

    - 특정 기업의 지분 매입 후 배당 확대나 자사주 매입, 인수합병 등의 재무구조나 지배구조 개편을 통해 주주가치를 높이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제시하여 주시 가치를 상승으로 이끌며 수익을 올리는 헤지펀드
    - 주주 행동주의 투자전략을 집중적으로 구사
    - 행동주의 펀드의 과도한 배당요구나 지난친 경영에 간섭으로 기업의 미래 가치를 훼손하는 등 악영향 우려

    헤지펀드란?
    - 100명 미만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는 사모펀드
    - 주식, 채권 파생상품, 실물자산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
    - 주식가격의 하락 예상으로 주식 미보유상태에서 차입 후 매도하는 공매도 전략사용
    - 자금을 차입하여 투자수익을 증대시키는 레버리지 전략사용 

    행동주의 펀드 행보 

    - 2003년 '소버린자산운용'의 SK경영진 교체 등을 시작으로 최근 아래와 같은 활동

    행동주의 펀드 행보
    행동주의 펀드 행보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그린본드란? (feat. ESG투자, SLB, SRI)

    연초부터 외화채 발행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달러채 발행이 연이어 성공하면서 최근 SK하이닉스가 발행하하는 외화채가 지속가능연계채권인 SLB와 그린본드(녹책채권)으로 발행되어 ESG에 주목하

    kimgoranine.tistory.com


    사실 과거에는 외국계의 헤지펀드들의 단기 시세 차익을 노리는 행동주의를 일으켜 행동주의 펀드는 기업사냥꾼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인식되어 왔었습니다. 왜냐하면 주가가 오르면 바로 팔고 떠나버리는 행태가 만연했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엔 많이 달라졌습니다. 국내 행동주의펀드들은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의 문제를 파고들어 실질적으로도 많은 변화를 이끌어 냈습니다. 2018년의 한진그룹 지배구조와 재무구조 개선을 촉구했던 KCGL(강성부 펀드)도 그렇고, 최근에 얼라인파트너스가 SM의 해묵은 지배구조 문제를 해결하기도 했고요, 물론 SM의 경우 그 후속으로 경영권 전쟁이 이어지고 있지만요. 물론 이에 따라 주가의 상승도 견인되고 펀드의 수익률도 올라가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행동주의라는 게 너무 과도하여 기업의 실적 감소 등의 이유로 장기적으로 주가 하락의 요인이 될 수도 있고 기업 경영권을 방어하기 위한 기업의 대응으로 소모적인 싸움이 계속되는 우려도 있습니다.  그래서 무조건 주주 행동주의를 실행하는 행동주의 펀드가 옳다 그르다로 명백히 나누기는 어려울 것 같고 투자 시에 항상 잘 판단해보아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