킴고라니네 정보창고
메인화면
  • 분류 전체보기 (134)
    • 경제·금융 (52)
    • News (2)
    • 경제 용어 (17)
    • 부동산 (5)
    • 생활정보 (31)
    • 건강정보 (23)
메인화면
  • 분류 전체보기 (134)
    • 경제·금융 (52)
    • News (2)
    • 경제 용어 (17)
    • 부동산 (5)
    • 생활정보 (31)
    • 건강정보 (23)
블로그 내 검색

킴고라니네 정보창고

경제, 금융, 부동산, 생활정보

  • 경제·금융

    스팩이란 (공모주 SPAC)

    2023. 2. 10.

    by. 킴고라니

    작년부터 증시의 불확실성이 커지며 증권업계의 스팩상장이 급증했습니다. 특히나 작년 후반부로 갈수록 일반 기업의 상장건수 보다도 스팩상장의 건수가 급증했었는데요, 오늘은 이 스팩이 무엇인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 차 >
    ¶ 스팩이란?
      - 특징
      - 장점 
      - 단점 
      - 투자 시 유의점 
      - 스팩 진행 절차  
    ¶ 기업M&A와 스팩의 차이

    스팩이란 (공모주 SPAC)
    스팩이란 (공모주 SPAC)

    ■ 스팩이란? 

    - SPAC(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 특수목적 기업의 한 종류, 기업인수합병을 목적으로 하는 페이퍼컴퍼니의 형태
    - 비상장 회사가 주식시장으로 우회 상장 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 
    - 미국과 유럽 등의 선진국에도 있는 제도로 우리나라에는 2009년 도입

    ¶ 특징

    - 회사의 형태이기에 초기 출자자들이 회사 설립
    - 보통 대주주는 벤처기업을 발굴하는 전문투자자
    - 자본금 1000억원 이상인 증권회사가 반드시 발기인으로 참여 
    - 기업공개 전에 합병 회사 특정 불가(미공개정보 이용 가능성의 이유) 
    - 스팩합병을 통한 상장은 절차가 일반 기업공개에 비해 간단하여, 기술력이 있으나 자금 부족한 기업 선호

    - 공모가 산정을 위한 비교 대상이 없어 스팩 상장시의 공모가는 관행적으로 2,000원으로 통일 

    ¶ 장점 

    - 스팩 청산 시 공모자금 중 신탁계정에 맡겨놓은 자금을 일반 투자자들에게 반환 
    - 최악의 경우에도 원금이 어느 정도 보장(공모가 아닌 장내에서 급등 스팩 주식을 산 경우 제외) 
    - 각종 운용경비 제외한 공모자금의 90% 이상을 외부 신탁기관인 한국증권금융에 맡겨 별도 관리
    - 상장 폐지 시 이자 지급: 증권신고서 상에 '1주당 지급 예상 금액' 항목에서 금액 확인 가능 

    ¶ 단점 

    - 합병 이후 주가 하락 가능성
    - 주가의 변동성이 크지 않아 안정적 성향의 투자자에게 적합
    - 규모가 크지 않아 공모 청약 시 높은 경쟁률 

    ¶ 투자 시 유의점

    - 상장 전 합병회사 특정이 불가하나 대략적인 업종은 스팩의 정관이나 증권신고서에 기재하나 대체로 상장 당시 유행하는 업종을 넣는 경우가 많으나 반드시 해당 업종과 합병하지 않을 수 있는 점 유의 
    - 상장 후 3년 안에 인수합병 미성사시, 스팩 자동 상장 폐지
    - 합병 심사 청구에서 합병 등기까지 6개월 기간 소요가 있으므로 2년 6개월 안에 합병대상이 정해져야 함
    - 합병 결정 시, '주요사항보고서(합병 결정)'로 공시
    - 2년 6개월 내에 '합병 결정' 공시를 못하는 경우 스팩은 관리종목 지정되고 1개월의 연장기간 추가  

    스팩 상장
    스팩 상장

    ¶ 스팩 진행 절차  

    - 상법상 주식회사 설립☞기업공개(IPO) 후 상장 ☞ 인수대상 기업 발굴 및 합병
    - 합병 성공 시) 결합기업의 주식 보유 또는 매각
    - 합병 실패 시) 스팩 청산, 공모자금 반환 

    스팩진행절차
    스팩진행절차

    ■ 기업M&A와 스팩의 차이

    - 합병을 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나 아래와 같은 차이 

    기업M&A와 스팩의 차이
    기업M&A와 스팩의 차이

     

    < 함께 보면 좋은 글 >

     

     

    IPO 뜻, IPO 기업공개 절차, 이유

    최근 주식시장의 침체로, IPO를 추진하던 기업들의 상장취소 또는 상장연기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렇게 IPO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지, IPO는 왜 하는 건지 알아보도록

    kimgoranine.tistory.com

     

     

    전자공시 다트 (DART) 보는 법

    주식을 매수하기 전, 기업에 대한 분석은 필수입니다. "난 그냥 삼성전자만 매수할 거고, 뭐 하는 곳인지 뻔히 아는걸요?"라고 하셔도 이 삼성전자의 실적이 어떤지(돈을 계속 벌 수 있는 구조인

    kimgoranine.tistory.com


    스팩의 규모가 300억원을 넘기면 초대형으로 분류되는데요, 최근 증권사들이 300~400억원의 규모에 이르는 초대형 스팩을 잇따라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불확실한 금융환경이 지속됨에 따라 비상장 기업들이 기업가치 평가가 제값에 매겨지지 않다는 게 큰 이유인 것 같습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 GPT 관련주 10종목  (0) 2023.02.14
    미래에셋비전스팩2호 공모주 청약일정, 수요예측 결과  (0) 2023.02.12
    연금 모수개혁 구조개혁  (0) 2023.02.09
    오아시스 공모주 청약일정, 수요예측 결과, 주관사  (0) 2023.02.08
    토큰 증권(ST) 정리 및 관련주  (0) 2023.02.06

    이 글을 본 사람들도 관심있게 본 글

    • 챗 GPT 관련주 10종목 2023.02.14
    • 미래에셋비전스팩2호 공모주 청약일정, 수요예측 결과 2023.02.12
    • 연금 모수개혁 구조개혁 2023.02.09
    • 오아시스 공모주 청약일정, 수요예측 결과, 주관사 2023.02.08
Designed by Organic
블로그 이미지
킴고라니

티스토리툴바